새소식

자료구조, 알고리즘 입문

자료구조, 알고리즘 입문 1-1 : 알고리즘이란_조건 판단과 분기

  • -

입력한 정숫값의 부호 판단

양수, 음수, 0 판단

 

import java.util.Scanner; //java.util패키지에 있는 Scanner클래스를 프로그램에 포함 (클래스 선언 앞에 작성)

-Scanner : 키보드로 입력받기 위해 쓰는 class

-import를 통해 외부 class를 호출

 

Scanner sc = new Scanner(System.in); //System.in -> 키보드와 연결된 표준입력스트림

-Scanner 클래스는 반드시 객체를 생성해야 한다.

 

int n = stdIn.nextInt();

-stdIn : System.in에서 문자나 숫자를 꺼내는 역할을 한다.

-next자료형 : 해당 자료형에 대한 입력을 받는 것. nextInt는 정숫값을 읽어들인다.

 

if(n>0)
   System.out.println("양수 입니다.");
else if(n<0)
   System.out.println("음수 입니다.");
else
   System.out.println("0 입니다.");

-if~else문을 이용하여 n의 범위를 기준으로 양수와 음수, 0을 구분한다.

-실행이 되는 부분은 양수, 음수, 0중 하나 뿐이며, 두가지 이상이 동시에 실행이 되지는 않는다. 이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세가지로 분기하기 때문이다.

 

if(n==1)
   System.out.println("A");
else if(n==2)
   System.out.println("B");
else if (n==3)
   System.out.println("C");

-위 if~else문의 경우 프로그램의 흐름이 3개로 분기하는 것 같지만 n값이 1,2,3이 아닐 경우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는다. 즉, 마지막 줄에 else ;가 숨어 있어 프로그램의 흐름이 4개로 분기한다.

 

 

 

*연산자와 피연산자

+, - 등의 연산 기호 : 연산자

연산의 대상이 되는 것 : 피연산자

 

단항연산자 : 피연산자가 1개  ex)a-

2항연산자 : 피연산자가 2개  ex) a+b

3항연산자 : 피연산자가 3개(조건연산자가 유일)  ex) a?b:c -> a가 true이면 b를 반환, false이면 c를 반환

Contents

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

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.